728x90

초등 수학: 연산, 사고력, 심화… 꼭 해야 할까?
많은 학부모와 학생들이 고민하는 초등 수학 학습법. 서울대생들은 어떻게 공부했을까?
1️⃣ 연산 학습지는 해야 할까?
- 연산 실력은 중요하지만, 무조건 학습지를 할 필요는 없다.
- 계산 실수가 많다면 연산 훈련을 해야 하지만, 흥미를 잃지 않도록 주의할 것.
- 억지로 시키기보다, 스스로 도전하는 방식으로 접근하는 것이 효과적.
2️⃣ 사고력 수학, 꼭 필요할까?
- 사고력 수학은 논리적 사고를 길러주므로 도움이 된다.
- 특히, 수학 개념을 깊이 이해하는 데 유리하다.
- 하지만 필수는 아니므로 아이가 흥미를 보이면 도전하면 좋다.
3️⃣ 초등 심화 수학, 반드시 해야 할까?
- 현행 교과 과정이 쉬운 학생이라면 심화 수학을 하면 좋다.
- 하지만 기본 개념이 부족한 상태에서 무리하게 심화를 하면 오히려 역효과가 날 수 있다.
- 수학에 흥미를 잃지 않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.
중학교 수학: 선행과 심화, 어디까지 해야 할까?
중학생이 되면 고등학교 수학을 얼마나 선행해야 할지 고민이 많아진다.
🔹 고등 선행, 어디까지 해야 할까?
- 가장 이상적인 것은 고등학교 2학년 과정(수2)까지 완벽하게 끝내는 것.
- 시간이 부족하다면 최소한 고등학교 1학년 과정(공통수학 1, 2) 을 마스터할 것.
- 중요한 건 개념을 완벽하게 이해하고 가는 것. 진도만 나가는 것은 오히려 독이 될 수 있다.
🔹 중학교 때 수학 문제집은 얼마나 풀어야 할까?
- 기본적으로 내신 대비 문제집(센, 일품 등) 은 풀어야 한다.
- 추가로 심화 문제를 다루는 급수학, 블랙라벨 등을 활용하면 더욱 탄탄한 실력을 기를 수 있다.
🔹 중3 겨울방학, 어떻게 활용해야 할까?
- 11월 기말고사 이후부터 고등학교 1학년 수학(공통수학 1, 2) 을 공부하면 고등학교 진입이 수월해진다.
- 이 시기를 활용해 중학교 때 부족했던 개념을 보완 하는 것도 좋은 방법.
서울대생들의 결론: 선행과 심화, 어떻게 해야 할까?
✅ 연산 학습지는 필요하지만, 흥미를 잃지 않도록 주의!
✅ 사고력 수학은 논리적 사고를 기르는 데 유리하지만 필수는 아님.
✅ 심화 수학은 기본 개념이 탄탄한 상태에서 도전해야 효과적!
✅ 중학교 때는 최소한 고1 수학까지 선행하는 것이 유리함.
✅ 선행 학습을 하더라도 ‘진도만 빼기’보다 ‘완벽한 이해’가 중요!
이제 여러분의 선택은? 😊
